요즈음 새로 나오는 신형컴퓨터들은 패러럴포트(LPT)는 거의 대부분 없이 출시가 되고 시리얼포트(COM)는 한개정도
있거나 없이 출시가 됩니다.
(연결 타입에 대한 설명은 여기를 눌러보세요)
다른글에 나와 있듯이 제차트프로그램에서 발신정보장치나 영수증프린터기를 사용할려면 위 2개의 연결장치가 컴퓨터에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추가로 이러한 포트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아래 그림같은 USB변환 젠더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패러럴 TO USB 젠더
시리얼 TO USB 젠더
이걸 USB에 꼽고 나서 동봉된 설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드라이브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요즈음 나오는 컴에는 USB포트는 많이 있기 때문에 이게 가장 현실적으로 편한 방법입니다.
※ 6월5일 추가내용
- 패러럴 to USB 젠더의 경우 컴퓨터가 인식하는 방식이 2가지가 있네요
첫째는 Usb 인쇄로 인식되는것으로 별다른 드라이버 설치없이도 간단하게 인식이 되는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방식으로 연결이 되면 제 프로그램에서는 출력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제 프로그램에서 영수증 출력시
시리얼이나 패러럴포트로 신호를 보내서 인쇄를 하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설치후 드라이브를 설치하면 LPT 포트로 인식되는 방식입니다. 제 차트프로그램에서 영수증프린트기를 이용할려면
이방식을 지원하는 젠더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관련내용에 대한 블로그를 보실수 있습니다.
2. 두번째 방법은 컴퓨터를 열어 보면 PCI 슬롯이라는게 있습니다. 여기에 각 타입의 PCI 카드를 설치후 사용하는겁니다.
(컴퓨터에 랜카드나 비디오카드 설치하듯이)
패러럴 PCI Card
시리얼 PCI Cad
이것도 컴퓨터 전원을 끈다음 카드설치하고 부팅해서 드라이브 설치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중 편한신데로 아님 가지고 계신 컴퓨터의 상황에 맞게 선택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근데 여기서 이렇게 추가로 카드나 USB를 설치후 드라이브를 잡으면 각 포트의 번호가 임의로 잡힙니다.
제 차트프로그램은 시리얼포트는 COM1~COM8까지, 패러럴포트는 LPT1~LPT4까지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은 이범위안에서 번호가 부여되지만 가끔 보면 COM12, LPT8 이런식으로 설정이 잡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포터번호 확인하는 방법과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 과정을 따라 하시면 됩니다.
(아래 화면은 WIN7에서의 화면이지만 Win XP에서도 비슷하게 보일겁니다)
1. 우선 장치관리자를 실행합니다.
포트(COM & LPT) 항목에서 보고자하는 포트를 선택후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속성'을 누릅니다.
2. 패러럴 포트의 경우 아래 그림처럼 보입니다. 'LPT Port Number' 항목을 확인을 하시고 범위를 벗어났으면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3. 시럴포트의 경우 아래 그림처럼 '포트 설정' 탭을 클릭하면 아래에 '고급'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아래처럼 포트를 설정할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상으로 포트변경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Companion For Vet > 프로그램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가 실행되지 않을때 대처방법 (0) | 2014.01.06 |
---|---|
차트의 데이타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하기-다음클라우드 이용 (0) | 2013.09.25 |
CompanionVet 일명 종달새 차트 업데이트 받는법 (0) | 2013.09.14 |
영수증 프린터 사용하기 (0) | 2013.04.24 |
발신번호장치(CID) 세팅하기 (0) | 201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