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패니언벳 차트 프로그램은 데이타파일을 로컬컴퓨터, 즉 병원내 컴퓨터 한곳에 저장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항상 컴퓨터가 이상이 있을 경우 데이타가 날라가지 않을까 하는 조바심을 갖게 합니다. 그런 불안감때문에 인터넷서버에 별도로 저장하는 차트프로그램을 많이들 이용하시기도 합니다.
지금 소개해 드릴 내용은 클라우드 동기화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데이타를 다음클라우드에 저장해 주는겁니다. 다음클라우드 서비스가 뭐냐하면 일종의 웹하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내파일을 인터넷서버, 즉 다음서버에 저장했다가 인터넷이 가능한 어떤 컴퓨터에서도 그 파일을 읽을 수가 있게 되는거죠. 다음클라우드 서비스 중에 'PC싱크'라고 해서 내컴퓨터의 특정폴더를 지정해 놓으면 그 폴더내 파일의 변화가 있으면 자동으로 다음클라우드로 변경된 내용을 저장해 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설치과정은 간단합니다. 다음에서 'PC싱크'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설치후 동기화할 폴더만 지정해 주면 됩니다.
1. 다음계정으로 접속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계정정보 옆에 '클라우드'라고 보입니다.
<그림 1>
2. 클라우드에 접속하면 왼쪽하단에 'PC싱크 프로그램 설치'라고 보입니다. 그곳에서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그림 2>
3. 설치후 다음클라우드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그림 3>
4. 자기 계정으로 접속하면
<그림 4>
위치를 각 병원 데이타가 설치된 폴더로 지정합니다.
(보통 c:\data폴더가 기본으로 되어 있고 각 병원에 맞게 데이타 폴더를 찾아서 지정해 주면 됩니다.)
※ 위 과정을 거치니까 문제점이 하나 있네요. 일단 위와 같은 방식으로 폴더를 지정하면 동기화가 되는 폴더가
c:\data\DaumCloud가 됩니다. 즉 c:\data폴더에 안에 있는 데이타파일은 동기화에서 제외가 되어 버리네요.
따라서 차트를 종료후에 데이타파일 2개를 해당폴더로 옮겨야 합니다.
즉 chartdata.fdb, chartimage.fdb 2개의 파일을 c:\data\DaumCloud 폴더로 옮기고 차트를 실행해서
설정-환경설정에서 데이타파일 경로를 바뀐위치로 지정해 줘야 합니다.
※ 화이어시알을 연동해서 사용하고 계신 원장님들은 이방식으로 하면 연동이 깨져버립니다.
따라서 경로를 바꾸지 않게끔 아래 '▶▶ 9월30일 추가'내용을 참조하시어 설정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그림 5>
위 그림의 'Data DB 지정', 'Image DB 지정'을 해당 위치로 맞추어 주세요.(차트가 설치된 모든 컴퓨터에서...)
되도록이면 기본 데이타경로는 안 바꾸면 좋겠는데 다른 방법을 모르겠네요.
▶▶ 9.30일 추가
- 차트의 기본경로를 바꾸지 않고 폴더를 지정하는 법
1. 일단 모든 차트를 종료합니다.
2. 데이타폴더의 이름을 임의로 바꿉니다.(C:\data라면 c:\data2 이런식으로)
- 폴더명 변경이 안된다면 어딘가에서 파일을 읽고 있다는 사용중이라는 뜻입니다.
차트를 모두 종료했는데도 변경이 안되면 시알서버 컴을 종료하시고 해보십시요..
3. 그런다음 클라우드 싱크설정을 할때 '위치'를 'c:\'로 잡고 '이름'을 'data'로 설정합니다.(<그림 4>)
4. 싱크과정을 거친후 c:\data2에 있는 차트 데이타파일을 새로 만든 C:\data폴더로 복사해서 넣어줍니다.
5. 이렇게 하면 싱크될 폴더가 'C:\data'폴더가 되고 차트내에서 데이타경로 지정을 바꾸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나면 이제 파일은 다음서버에 자동으로 저장이 되니 데이타 유실의 걱정은 거의 안해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2015. 1. 16 추가내용
다음클라우드 씽크 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면 동기화 과정에서 에러가 나는 경우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눌러보세요
'Companion For Vet > 프로그램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비연동시 기본 세팅값 설정하기 (0) | 2014.03.19 |
---|---|
차트가 실행되지 않을때 대처방법 (0) | 2014.01.06 |
CompanionVet 일명 종달새 차트 업데이트 받는법 (0) | 2013.09.14 |
컴퓨터에 시리얼포트나 패러럴포트가 없을경우 (0) | 2013.04.25 |
영수증 프린터 사용하기 (0) | 2013.04.24 |